jiseong's study blog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jiseong's study blog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67)
    • 백준공부 (21)
    • 아이디어 (0)
    • 인공지능 공부 (0)
    • git (15)
    • 개발일지 (10)
    • 정리_모음 (8)
    • 프로젝트?? (3)
    • 이걸왜씀? (1)
    • C# (6)

검색 레이어

jiseong's study blog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heroku 시작

    2021.07.30 by go_ra_ni

  • express정리

    2021.07.29 by go_ra_ni

  • 웹 - node.js 사용하여 프로젝트

    2021.07.22 by go_ra_ni

  • mediapipe + pygame 모션 인식으로 게임 만들기

    2021.07.22 by go_ra_ni

  • Node.js 정리

    2021.07.22 by go_ra_ni

  • git + coding 4주차

    2021.07.22 by go_ra_ni

  • git + coding 소모임 3주차

    2021.07.14 by go_ra_ni

  • 개발자가 되려면..1

    2021.07.13 by go_ra_ni

heroku 시작

생활코딩강의와 여러 웹서핑 정보를 토대로 nodejs - express - 배포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heroku를 사용한 배포에서 막혀서 결국 가장 기본 형태로 돌아와서 배포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우리의 친구 hello world를 출력하는 간단한 코드이다. app.js가 메인이고 lib/topic은 글 주제를 정하는 곳이다. 배포를 위해 heroku 가입과 app create를 진행한다. pipeline으로 github를 선택하고 저장소에 push까지 진행하였다. 하지만 오류 발생.. 결국 고쳐야하는 부분은 여러가지였는데 나는 3번 종속성을 분명 추가했는데 적용이 안됐었다. 껐다 키고 다시 npm install express --save를 하니 추가 완료 이제부터 꾸며봅시다..

개발일지 2021. 7. 30. 13:09

express정리

기본 헤더 var express = require('express'); var app = express(); 서버 시작 라우팅 get //routing app.get('/', function(request, response) { var _url = request.url; var queryData = url.parse(_url, true).query; if (queryData.id === undefined) { topic.home(request, response); }else { topic.page(request, response); } }); 서버 연결 포트 app.listen(5500, function(){ console.log('Example app listening on port 5500!'); }..

정리_모음 2021. 7. 29. 14:06

웹 - node.js 사용하여 프로젝트

생활코딩 강의를 수강하면서 웹페이지 구현을 해볼 예정이다. 프론트와 백을 혼자서 해야하니 쉽지 않겠지만 서버 동작 원리와 데이터 저장 방법을 얻어가는 정도를 목표로 하고 있다. https://github.com/iotgitstudy/IOT_WEB_SITE-HTML- GitHub - iotgitstudy/IOT_WEB_SITE-HTML-: HTML로 웹사이트 만들기 프로젝트 HTML로 웹사이트 만들기 프로젝트. Contribute to iotgitstudy/IOT_WEB_SITE-HTML-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진행하는 프로젝트가 여러개가 되니 진도가 빨리 나가지 않고 공부하면서 해야하니 원하는 것을 하기가 어렵다. 먼저 구현..

프로젝트?? 2021. 7. 22. 20:26

mediapipe + pygame 모션 인식으로 게임 만들기

게임 프로젝트를 하나 해보고 싶었는데 평범한 건 싫었다.. 현재 실력이 완성형 게임을 만들 정도는 아니지만 원래부터 관심 있었던 가상현실 게임 비스무리한걸 만들어보고 싶어서 시작하게됐다. https://github.com/iotgitstudy/python_opencv_rspgame GitHub - iotgitstudy/python_opencv_rspgame: python opencv & pygame 활용한 게임만들기 프로젝트 python opencv & pygame 활용한 게임만들기 프로젝트. Contribute to iotgitstudy/python_opencv_rspgame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먼저 카메라 모션과 pyg..

프로젝트?? 2021. 7. 22. 20:22

Node.js 정리

https://opentutorials.org/course/3332 WEB2 - Node.js - 생활코딩 수업소개 이 수업은 JavaScript를 이용해서 Node.js를 제어해 동적으로 HTML 코드를 생성하는 웹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 방법에 대한 수업입니다. 수업대상 예를들어 1억개의 페이지로 이루어진 웹사 opentutorials.org 생활 코딩 강의를 수강하며 정리함 node.js 정리 ## 서버 여는 법 var http = require('http'); var app = http.createServer(function(request,response){ var url = request.url; if(url == '/'){ url = '/index.html'; } if(url == '/favico..

정리_모음 2021. 7. 22. 11:26

git + coding 4주차

https://github.com/iotgitstudy/IOT21summer GitHub - iotgitstudy/IOT21summer: IOT인공지능융합전공 2021년-여름 git 학습 repo IOT인공지능융합전공 2021년-여름 git 학습 repo. Contribute to iotgitstudy/IOT21summer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어느정도 진행을 해봤는데 색다른 무언가가 필요할 것 같아서 유튜브 강의를 클론 코딩하며 한 브랜치에서 조금씩 기능을 추가하는 숙제를 준비해 보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bKPIcoou9N8&t=1050s 유튜브 나도코딩님의 영상을 참고하여 협업 ..

git 2021. 7. 22. 01:12

git + coding 소모임 3주차

3주차 진행상황 참가자 간의 소개를 간단히 진행하였고 조직(oganization)의 사용법을 설명하였다. master branch로 push가 자유로워졌으므로 참여도의 상승을 기대해본다. 또한 다음주부터 프로젝트를 진행해볼까한다. 주제는 python, HTML, java가 있다. 3가지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이디어를 생각하고 공유할 예정이다. 실제 프로젝트에서 git을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문제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학습하도록하자. 소모임을 운영하면서 컨텐츠를 하나씩 공부해나가며 내가 제일 도움을 많이 받고 있는 것 같다. 다음주는 git 명령어 5가지씩 리뷰를 받고 코멘트를 적어보는 것을 당부했다. commit 내용물이 부족하기 때문에 쉽지않겠지만 그동안 많은 준비를 통해 알찬 1주일을 보..

git 2021. 7. 14. 00:09

개발자가 되려면..1

3학년 절반이 지나간 지금 나는 개발자로 취업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 찾아보는 중이다. 가장 먼저 정해야 할 것이 뭘까 생각해보니 내가 취업을 원하는 직무가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평소 학교 수업에서는 이런 직무를 구분하여 학습하지 않고 주로 언어 기초, 운영체제, 알고리즘 기초 위주로 수업을 진행한다. 그래서 알아본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자면 개발자는 크게 front end back end로 나뉜다. front는 말 그대로 앞면을 뜻하고 프로그램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부분을 개발하는 것을 의미한다. back은 눈에 보이지 않는 서버와 DB와 같은 내부적인 동작을 관리 개발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실 지금까지 front에 관한 내용은 수업에서 거의 배우지 않은 것 같다. 그래서 따로 유튜브..

개발일지 2021. 7. 13. 11:46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6 7 ··· 9
다음
TISTORY
jiseong's study blog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